top of page

2024 ASIA PHILANTHROPY AWARDS 수상자



2024 아시아 필란트로피 어워드 수상자


정형석 님은 장애인의 권익 증진과 복지 확산에 평생을 헌신해 온 사회복지사이자 밀알복지재단 상임대표입니다. 그는 장애인의 교육과 자립 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실현하며 한국 장애인 복지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11년 굿윌스토어 설립 이후 전국에 35개 매장을 운영하며 발달장애인 450여 명에게 최저임금 이상의 소득을 보장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9년 설립한 국내 최초 시청각장애인 지원센터인 헬렌켈러센터는 장애인복지법 개정을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법적 권리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2004년부터 매년 밀알콘서트를 개최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장을 마련했으며, 수익금은 국제개발협력과 국내외 장애인 지원에 활용되었습니다.

     

장애아동 조기 특수교육을 위해 장애아동 통합보육 어린이집과 발달장애아 특수학교인 밀알학교 등 교육시설을 운영하며 장애인 교육권 보장의 길을 열어오고 있는 정형석 님은 특히 밀알학교 설립 당시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설득과 끈기로 학교를 개교해 현재까지 우수한 특수교육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 예술단 '브릿지온'과 발달장애 청소년 첼로앙상블 '날개' 등을 창단해 장애인이 예술을 통해 꿈을 펼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필리핀, 네팔 등 해외 개발도상국에서 특수학급(특수학교) 운영 및 직업훈련센터 설립 등을 통해 장애인 자립을 지원하고, 우크라이나 난민 및 미얀마 병원 건립지원 등 긴급구호 활동에도 앞장섰습니다. 현재 밀알복지재단은 11개국에서 다양한 복지사업을 수행하며 전 세계 취약계층의 권익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Cheng Heong-Suek is a social worker and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Miral Welfare Foundation, who has devoted his life to promoting the rights and welfa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e has established himself as a pioneer in disability welfare in Korea by implementing various initiatives to overcome social prejudices regarding the education and independenc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ince founding Goodwill Store in 2011, he has expanded it to 35 locations nationwide, providing over 450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stable employment and income exceeding minimum wage. In 2019, he established the Helen Keller Center, Korea's first support center for people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contributing to legislative amendments that secured their legal rights under the Disability Welfare Act. Furthermore, since 2004, he has organized the annual Miral Concert, creating a space for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come together. Proceeds from these concerts have been used to suppor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isability assistance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o ensure early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e has operated educational facilities such as inclusive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iral School, a specialized institu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spite opposition from residents during the school’s establishment, his perseverance and persuasion led to its opening, which remains a highly regarded example of special education. Additionally, he founded the disabled performing arts group "Bridge On" and the youth cello ensemble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ng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realize their dreams through art.

Moreover, Cheng has extended his efforts globally, supporting the independenc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the Philippines and Nepal by operating special classes and vocational training centers. He has also led emergency relief initiatives, including support for Ukrainian refugees and the construction of hospitals in Myanmar. Currently, the Miral Welfare Foundation conducts diverse welfare programs in 11 countrie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rights and livelihoods for vulnerable populations worldwide.



김용국 님은 공익법인 아시아문화연구원의 원장으로서 지역 문화 보존과 이주민 권익 증진을 위해 헌신해왔으며, 그의 철학은 공동체의 발전과 포용적인 사회를 지향하는 데 깊게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아시아문화연구원을 설립하여 아시아 각국과의 문화적 협력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아시아인의 자부심을 일깨우고, 상생의 관계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주도했습니다.

     

그는 이주민과 선주민 간의 이해와 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포괄적이고 혁신적인 정책을 개발하여 사회 통합에 기여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기간 동안 외국인 주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모범적인 복지 모델을 제시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네팔 이주노동자 자살 예방 정책을 통해 민간 외교관으로서 중요한 기여를 하였고, 튀르키예와의 역사적 인연을 이어가며 양국 간 우호 관계 증진에 기여했습니다.

     

김용국 님은 "올바르고 필요한 일이라면 비판을 두려워하지 말고 신념을 지켜야 한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의 모든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비판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실현해 나갔습니다. 비영리 분야에서의 지속 가능성을 깊이 이해하고 있으며, 자신의 자금을 투자하고 공동체와 협력해 나가는 혁신적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그의 헌신적인 활동은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국제적인 신뢰와 권위를 얻었습니다. 2024년에는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 특별협의지위를 획득하며, 그의 노력과 성과가 국제 사회에서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Kim Yong-Kuk, as the president of the Asian Cultural Center, has devoted himself to preserving regional cultures and advancing the rights of immigrants. His philosophy deeply roots itself in foster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promoting an inclusive society. By establishing the Asian Cultural Center, he has laid the groundwork for cultural cooperation among Asian countries, inspiring pride among Asians and spearheading various projects to create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Kim has contributed to social integration by developing comprehensive and innovative policies that promote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immigrants and local resi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e played a critical role in ensuring the safety of foreign residents by presenting exemplary welfare models. Additionally, h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as a private diplomat through his suicide prevention policies for Nepalese migrant workers and efforts to strengthen historical ties and friendly relations between Turkey and Korea.

Kim firmly believes that "if a cause is just and necessary, one must uphold their convictions without fear of criticism," and this philosophy guides all his activities. Despite challenges, he has successfully established essential facilities and programs.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sustainability in the nonprofit sector, he has invested his own resources and collaborated with communities to build innovative models for positive change.

His dedicated efforts have earned him trust and respect not only in Korea and across Asia but also on the international stage. In 2024, he secured special consultative status with th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ECOSOC), a testament to his recognized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to global society.



군대는 오랜 시간 한국 사회에서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9년에 설립된 군인권센터는 군인들이 제복을 입은 시민임을 인식하고, 군대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권침해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왔습니다.

     

지난 15년간 인권침해 피해자를 지원하며, 병사들의 휴대전화 사용 허용, 군사법원 제도 개혁, 군인권보호관 도입 등 여러 정책적 변화를 선도하여 군인에게도 인권이 있다는 당연하지만 낯선 사실을 한국 사회에 확산시켜 왔습니다. 특히, 10명의 상근활동가가 연간 1,500여 건의 인권침해 사건을 상담·지원하며, 한국군 장병들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군인권센터는 인권 교육, 상담 및 법적 지원을 포함하여, 군대 내 인권 실태 조사와 정책 개선 방안 제시로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피해를 입은 장병들과 그 가족들에게 신뢰받는 지원을 제공하며, 군대 내 인권 의식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캠페인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활동과 성과를 통해 군대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인권 존중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인권침해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보호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으며, 법적 제도 개선과 정책 변화에 기여함으로써 군대 내 인권 보장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구타 및 가혹행위 방지, 성폭력 피해자 보호 제도 개선 등에서 이룬 성과는 군인 인권 보호의 새로운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The military has long been a blind spot for human rights in South Korea. Established in 2009, the Center for Military Human Rights Korea (CMHRK) has been actively addressing va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within the military, advocating the recognition of soldiers as citizens in uniform.

Over the past 15 years, the CMHRK has supported victims of human rights abuses and led significant policy changes, such as allowing soldiers to use mobile phones, reforming the military court system, and introducing the Military Ombudsman. These efforts have helped promote the fundamental yet often overlooked concept that soldiers are entitled to human rights, spreading awareness of this notion throughout Korean society. The center, supported by 10 full-time staff members, handles approximately 1,500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nually, serving as a steadfast pillar of support for service members.

The CMHRK’s activities encompass human rights education, counseling, legal assistance, and conducting investigations into human rights conditions within the military. They also propose policy improvements and expand awareness through various campaigns and educational programs, fostering trust and providing critical support to affected soldiers and their families.

Through these dedicated efforts and tangible achievements, the CMHRK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culture of respect for human rights, not only within the military but also in society at large. By representing and advocating for vulnerable voices, the organization has strengthened the framework for protecting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Their accomplishments in preventing abuse, addressing sexual violence, and improving protective systems for victims mark a significant milestone in safeguarding the human rights of soldiers.



황덕영 님은 지역 소멸과 청년 실업 등 한국 사회의 주요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며 지속 가능한 사회변화를 이끄는 데 헌신해 왔으며 종교의 경계를 넘어, 청년 창업과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혁신 모델을 개발하고 확산시키는 데 앞장섰습니다.

     

그는 2024년 새중앙 어번데일 로컬센터를 오픈했습니다. 이곳은 스타트업 전용 코워킹 스페이스로, 현재 8개의 청년 기업이 입주해 멘토링과 컨설팅을 받고 있습니다. 교회의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하며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이 모델은 한국 교회와 지역사회 간의 새로운 협력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부산시 사상구에서 도시재생과 다문화 사회의 융합을 목표로 진행 중인 리틀 아시아 타운 프로젝트는 이주민과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창업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상권 활성화의 주체로 자리 잡게 하는 선구적인 사업입니다. 더불어, 청년창업펀드와 소셜임팩트펀드를 운영하여 청년 스타트업과 로컬 크리에이터들에게 자금과 지원을 제공하며 지속 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황덕영 님은 "교회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철학을 실천하며, 교회의 사회적 역할을 새롭게 정의하였습니다. 그의 활동은 단순히 경제적 효과에 그치지 않고, 교회가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David Hwang has dedicated himself to addressing significant societal challenges in South Korea, such as regional depopulation and youth unemployment, through innovative solutions. He has transcended the boundaries of religion to develop and disseminate social innovation models aimed at fostering youth entrepreneurship and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In 2024, he opened the Saejungang Urban Dale Local Center, a coworking space dedicated to startups. Currently housing eight youth-led companies, the center provides mentoring and consulting services. By offering this space free of charge, the church has become a groundbreaking example of collaboration between religious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ies in South Korea.

Additionally, Hwang leads the Little Asia Town Project in Sasang-gu, Busan, which aims to merge urban regeneration with multicultural integration. This initiative offers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o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establishing them as key contributors to the local economy. Furthermore, he operates the Youth Startup Fund and Social Impact Fund, providing financial and resource support to nurture sustainable economic ecosystems that connect youth entrepreneurship with local communities.

Hwang practices the philosophy that "the church must be at the center of solving local community problems," redefining the societal role of religious institutions. His efforts go beyond economic revitalization, presenting an innovative direction where churches can co-exist and thrive with their local communities.



김자유 님은 한국 비영리단체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며 새로운 모금 패러다임을 제시한 혁신적 펀드레이저입니다. 그는 “디지털 기술로 시민과 비영리를 연결하겠다”는 철학 아래, 데이터 기반 모금 솔루션 개발과 교육을 지속하며 비영리 생태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오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들에게 혁신적 사고와 공익적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비영리단체들이 디지털 기술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적 장벽을 낮추고, “모두가 공익 활동에 쉽게 참여하고, 지속가능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는 ‘오늘의리포트’라는 국내 최초 온라인 기부경로 분석 솔루션을 개발해 약 170여 개 비영리단체가 모금 효율을 개선하고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또한 중소형 비영리단체가 전문가 도움 없이 모바일 친화적 모금 페이지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만든 ‘캠페이너스’를 통해 800여 단체가 디지털 모금의 첫발을 내디뎠으며, 비영리 종사자들을 위한 학습 플랫폼인 ‘캠페이너스 TV’를 통해 비영리 관계자 2,300여 명에게 디지털 모금 방법론과 성공 사례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펀드레이징 랩(랩장 하예성)'을 설립하고

누적 3억 건의 후원자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비영리단체의 디지털 모금 트렌드 리포트를 매년 공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각 비영리단체가 디지털 모금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실제적인 솔루션 개발뿐만 아니라 <비영리단체 성장 공식, 잠재후원자 모금>이라는 저서를 제작해 무료로 배포하며, 데이터 기반 모금의 이론과 성공 사례를 널리 전파하는 데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의 활동은 청년들에게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새로운 길을 보여주며, 디지털 시대의 비영리단체들이 변화와 혁신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Kim Ja-Yu is an innovative fundraiser who has pioneere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presenting a new paradigm for fundraising. Guided by his philosophy of "connecting citizens with nonprofits through digital technology," he has continuously developed data-driven fundraising solu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opening new possibilities for the nonprofit ecosystem. He has especially empowered younger generations to adopt innovative thinking and realize their visions for public good.


Kim has focused on lowering technological barriers for nonprofits to ensure they can thrive in the digital era. His efforts center on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everyone can easily engage in public interest activities and achieve sustainable growth." He developed Today’s Report, South Korea's first online donation pathway analysis tool, which has helped approximately 170 nonprofit organizations improve their fundraising efficiency and optimize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Additionally, through Campaignus, a platform enabling small and medium-sized nonprofits to easily create mobile-friendly donation pages without expert assistance, over 800 organizations have taken their first steps in digital fundraising. Moreover, Campaignus TV, an educational platform for nonprofit professionals, has provided over 2,300 individuals with digital fundraising methodologies and success stories. Furthermore, He established the "Fundraising Performance Lab" (led by Lab Director Ha Yeseong), which analyzes over 300 million records of donor digital data. This initiative produces an annual Digital Fundraising Trends Report, providing a benchmark for nonprofit organizations to develop effective digital fundraising strategies.

Beyond practical solutions, Kim authored and distributed a free book titled The Growth Formula for Nonprofits: Fundraising from Potential Donors, spreading the theory and success stories of data-driven fundraising widely.


His initiatives demonstrate to young people how technology and data can amplify social value, while enabling nonprofits to adapt to change and innovation in the digital age.



コメント


bottom of page